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53)
[패스트캠퍼스 온라인] 한 번에 끝내는 Java/Spring 웹 개발 Essential 최근에 급하게 Web으로 광고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해야될 일이 생겼다. 마침 작년말 패스트 캠퍼스에서 Spring 관련한 스터디를 위해서 강의를 구매해놓은 것이 생각나 바로 수강에 들어갔다. 백엔드는 역시 DB 연결이 중요하지! Mysql 연결~ Docker 활용 예제도 설명이 있어 참고 하여 연동했다. Spring Boot는 JPA 라는 ORM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면 보다 안전하고 간결하게 DB 와 연결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았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JPA는 SQL 쿼리를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오히려 헷갈리는게 많았지만 강의를 들으며 차근차근 풀어나가니 역쉬~! 배우는게 답이다~ ㅋㅋ 한 2주정도 쉼 없이 강의를 듣고 바로 프로젝트에 투입!! DB를 연동하고 Front end에서 사용할 API 제작까..
Windows React Native 환경 셋팅 이거 부터 설치 choco https://chocolatey.org/install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tomation for Windows that wraps installers, executables, zips, and scripts into compiled packages. Chocolatey integrates w/SCCM, Puppet, Chef, etc. Chocolatey is trusted by businesses to manage software deployments. chocolatey.org 파워쉘 -관리자 권한으로 열기 아래 링크에서 시키는 대로 choco 활용 설치 https://reactnative..
React 성능 개선 하기 크롬 확장 프로그램 설치 하면 (React Developer Tool) component, profiler 생김 아래 그림에서 각각 컴포넌트 A, B 별 렌더 시간 나옴 React.memo 사용하여 성능 개선 const Message = React.memo(({ message }) => { return {message} }) useCallback 활용한 함수 최적화 아래 처럼 감싸서 함수 전달 하면 값, 참조 위치 등이 변할 때만 렌더링 됨 const B = ({message, posts}) => { console.log("B is rendered"); const testFunc = useCallback(() => {}, []); return ( B Component ) } useMemo 활용한 결과값 ..
github page 활용 npm install gh-pages --save-dev package.json에 추가 "private": true, "homepage": "https://{깃허브 유저 이름}.github.io/{저장소 이름}/", "scripts": { "start": "react-scripts start", "build": "react-scripts build", "deploy": "gh-pages -d build", npm run build npm run deploy 위 홈페이지 url 사용해도 되고 github 에 branch 중 gh-pages > settings > page 에 주소 있음 무료 호스팅 좋아요~
백엔드도 새로 시작 Spring Web 여기가서 새로운 이미지 generation https://start.spring.io/ IntelliJ에서 open file > build.gradle java 11로 전부 셋팅 https://velog.io/@kcho32/Execution-failed-for-task-compileJava.-invalid-source-release-11 https://parkjye.tistory.com/76#:~:text=%5B%EC%8B%9C%EC%9E%91%5D%EC%9D%84%20%EC%97%B4%EA%B3%A0%20%EA%B2%80%EC%83%89%EC%B0%BD,Java%2011%EB%A1%9C%20%EB%B3%80%EA%B2%BD%ED%95%A9%EB%8B%88%EB%8B%A4. 8080포트 쓰고 있을 때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