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F1 레이스카의 주요 구성 요소와 그 역할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앞쪽 파트
- 앞날개 (Front wing)
- 레이스카 머리 부분에 공기 역학적 다운포스를 생성.
- 노즈 콘 (Nose cone)
- 레이스카의 노즈 부분으로 충돌 사고 시 부서져 충격을 완충하는 '크럼플 존(Crumple zone)' 역할.
- 트랙 로드 (Track rod)
- 앞바퀴를 스티어링 시스템과 연결해 조향 가능하게 함.
- 푸시로드 (Pushrod)
- 바퀴의 상하 이동을 서스펜션 로커로 전달.
- 프론트 위시본 (Front wishbone)
- 전륜 휠 허브가 일정한 상하 궤적을 그릴 수 있게 하는 가이드.

중앙 및 운전자 관련 파트
- 스티어링 휠 (Steering wheel)
- 앞바퀴 조향, 기어 변경, 클러치 연결, 각종 컨트롤 시스템 세팅 조작.
- 드라이버 콕핏 (Driver cockpit)
- 드라이버가 탑승하는 공간.
- 리어 위시본 (Rear wishbone)
- 후륜 휠 허브가 일정한 상하 궤적을 그릴 수 있게 하는 가이드.
- 뒷날개 (Rear wing)
- 레이스카 꼬리 부분에 공기 역학적 다운포스를 생성.

뒷부분 파트
- 휠 너트 (Wheel nut)
- 휠을 허브에 고정시키는 조임쇠.
- 헤일로 (Halo)
- 오픈 휠 레이스카의 충돌 사고 발생 시 드라이버의 머리를 지키기 위한 고강도 구조물.
- 사이드포드 (Sidepod)
- 엔진과 기어박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가 내장된 부분.
- 파워 유닛 (Power unit, PU)
- 드라이버 콕핏 뒤에 직접되어 동력을 생성.
- 기어박스 (Gearbox)
- 파워 유닛 뒤에 직접되어 드라이브 샤프트로 전달되는 파워 유닛 토크를 바꿈.
- 휠 림 커버 (Wheel rim cover)
- 휠 림을 덮는 커버로 바퀴 주변의 난류 발생을 막기 위해 도입됨.
- DRS (공기 저항 감소 시스템, Drag reduction system)
- 뒷날개의 윗 플랩을 열어 공기 저항을 줄임.

추가 파트
- 카메라 마운트 (Camera mount)
- 카메라가 부착되는 부분.
- 배기가스 배출구 (Exhaust)
- 배기가스를 뒤로 배출하는 장치.
- 엔진 공기 흡입구 (Air intake)
- 엔진으로 들어갈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물.
- 피토 센서 (Pitot sensor)
- 공기 흐름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
- 라디에이터 공기 흡입구 (Radiator air intake)
- 외부 공기로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킴.
- 휠 허브 (Wheel hub)
- 브레이크 시스템을 내장하고 휠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장치.
- 플로어 (Floor)
- 차체 바닥에 달린 거대한 판으로 공기 역학적 그라운드 이펙트를 생성.
- 프론트 윙 플랩 (Front wing flap)
- 윙 플랩의 각도를 조정해 다운포스를 조절함.
- 엔드플레이트 (Endplate)
- 프론트 윙의 양 끝단에 있는 판으로 차와 부딪히는 공기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함.

이상입니다! F1 레이스카의 각 부품과 역할이 간단히 정리되었습니다. 😊
728x90
반응형
'Contents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1 일본 한국시간 2025 3번째 레이스! (0) | 2025.04.02 |
---|---|
F1 호주 한국시간 2025 시작! (0) | 2025.03.11 |
2025 F1 경기 일정 (한국시간) + F1 영화 개봉 정보 (0) | 2025.02.23 |
넷플릭스 F1 본능의 질주 2025 (0) | 2025.01.30 |
올해 마지막 기회? 12월 그랜저 하이브리드 중고차 가격, 폭탄 세일 vs 폭등? 당신의 선택은? (2) | 2024.12.30 |